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by 6기양현서기자 posted Sep 19, 2017 Views 106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들어 재정 운영(finance management), 즉 돈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소방장비 납품비리, 한국항공우주산업(KAI)방산비리 등 부정부패, 정경유착에 의한 문제들이 많이 생겨나면서 이러한 적폐를 청산하자는 요구가 끝없이 쏟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하다는 것일까? 첫 번째 이유로는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효율성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소수의 몇 명이 돈을 빼돌려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는 일이 줄어들어, 적은 돈으로도 여러 가지 일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로는, 이러한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결국 사람들의 신뢰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 번이라도 용돈기입장을 써 본 학생이라면 알겠지만, 만약에 용돈기입장을 매일매일 빠지지 않고 기입하였고 이를 부모님이 보신다면, 부모님의 칭찬은 물론 추가적인 보상을 얻게 될 것이다. 이는 당연한 사실이며,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도 적용된다. 한 가지의 예시를 더 들어보자면, 최근(727) 문재인 대통령의 호프 미팅에 초청되어 화제가 된 오뚜기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오뚜기는 1500억 원에 이르는 상속세를 납부하고, 비정규직 비율을 1% 이내로 조절하고, 라면값을 10년 가까이 동결하는 등의 행보를 보여 소비자들에게 ‘갓뚜기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기업이다. 이 기업은 이러한 행보로 인해 참깨 컵라면의 72728일 판매량이 각각 13%, 16% 증가하였다.

4635eec130d9bda3ff2a714cf6fedac7.jpg

[이미지 출처=퍼블릭 도메인 이미지(저작권 소멸)]

이를 통해 우리는 사람들의 신뢰를 얻으면 돈이 저절로 따라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모든 사람들이 경제활동을 하는 이유는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위와 같은 사실들을 통해, 우리는 재정 운영을 투명하게 해야 합리적이라는 사실을 도출해낼 수 있다. 쉽게 말해서, 공정한 방법으로 돈을 버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고, 기분도 좋지 않겠는가? 지금부터 우리들 모두 돈을 기분 좋게 버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하는 이유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양현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8505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5391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67793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3030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4251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7271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6 2017.01.23 김가은 16363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6885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6845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8258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7224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6812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3495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1177
진짜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file 2017.02.24 이소미 18423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4000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2629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7566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9753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6688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4834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3121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19308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1292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5818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0728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7051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2595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4598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8479
지역 환경전문가와 돌고래 보호 운동 나선 제주도 청소년들 2023.11.22 박유빈 2711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8259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6046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1951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8412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4943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9813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18669
지구촌을 공포에 빠져들게한, 여성혐오문제'페미사이드' 2 file 2016.05.25 장채연 16336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4 file 2016.04.25 김예지 14659
지구온난화 심각···몇십 년 내에 사과농장 사라져··· 1 file 2017.11.27 김정환 11803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9044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0233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2174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4282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9405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7715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5681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3 file 2016.04.24 김현승 16899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5503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56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