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해외를 들썩인 '포켓몬Go', 도대체 무엇이길래?

by 3기백현호 posted Jul 17, 2016 Views 168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creenshot_2016-07-17-21-03-13-1.pn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백현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포켓몬Go (Pok mon Go)는 지난 7월 6일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 출시된 증강현실 게임이다. 출시 24시간 만에 앱 스토어 "최고 매출(Top Grossing)" 및 "무료(Free)"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몰이를 하였다. 이 게임은 현실 공간 위치에 따라 모바일 기기 상에서 출현하는 가상의 포켓몬을 포획하고 훈련시켜 대전을 하고 거래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방식의 게임의 등장에 따라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에서 ‘포켓몬 고‘는 많은 화제 거리가 되었다. 포켓몬 분장을 하고 포켓몬 고를 플레이하는 사람의 사진이 공개되는 등 포켓몬 고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사용자에게 현실세계에 가상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드래곤볼’에서 안경을 쓰면 상대방의 전투력과 방어력 등을 보여주는 ‘스카우터’, 그리고 구글 사의 구글 글래스(Google Glass)가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예이다. 이 기술은 90년대 후반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개발되어왔다. 10년대에 들어와 비약적으로 늘어난 스마트폰 사용량에 따라 증강현실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외국의 시장조사업체인 주니퍼 리서치(Juniper Research)는 ‘증강현실 시장이 2014년까지 7억 달러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이런 규모로 성장한다면 머지 않아 스마트폰의 한계를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증강현실 기술이 탄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증강현실게임은 실제의 공간에서 활동을 하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문제가 불어질 수 있다. 미국의 경찰 당국은 포켓몬 고를 플레이 하는 이용자들이 포켓몬을 찾으러 다니는 데 신경을 쓰다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우리나라도 포켓몬Go가 출시된다면 알맞은 규제 및 제도를 마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백현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장서윤기자 2016.07.22 19:17
    요즘 굉장히 이슈가 되고 있는 게임이죠. 그런데 너무 심하게 게임에 몰입하고 거리를 다니다 보면 자칫 사고가 날 가능성이 있는 것 같아요. 게임을 즐기는 것도 좋겠지만 안전이 제일 중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김초영기자 2016.07.23 23:29
    기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새삼 실감나네요. 아직 해보지는 못했지만 꼭 한번 도전해 싶네요. 좋은 기사 갑사합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7.24 13:31
    인기가 대단함을 정말 실감해요. 기사에서 말씀하신 것 같이 페이스북 같은 SNS에서 분장을 한 사람들을 봤을 때 이게 뭔가 했는데 증강현실게임이였네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화제를 불러 일으킨 새로운 기술과 게임에 감탄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8520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5409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68004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8592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022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299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8846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0843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0347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8683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7563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8758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0803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4974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040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072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2328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8387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7994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19970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5705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146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1543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19929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265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002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4425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098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087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2271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4631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176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220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2791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19332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19321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7760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0920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0167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4698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0114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3480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7149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4878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5375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9645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4124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2250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0538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4817
FOOD TECH라고 들어보셨나요? 1 file 2018.12.31 채유진 119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