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by 5기이지현기자 posted Sep 08, 2017 Views 2024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age_3906028171486458670978.jpg


[이미지 출처=서울특별시교육청 공식 블로그]


최근 만 18세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하자는 주장이 정치판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현 우리나라의 선거권 연령은 만19세로, OECD 34개 국가들 가운데 유일하게 만 18세가 선거권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전국 232개국 중 215개국, 즉 92.7% 정도가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부여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세계적 추세에 맞게 선거권 연령을 하향해야 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이념에 따른 분단국가인 우리나라가 세계적 추세에 따라 섣불리 선거권을 하향하는 것은 아전인수에 불과할 수 있다. 과연 우리나라는 선거권을 하향해야 하는가?
찬반을 나누기에 앞서, 우리나라 또한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부여한 적이 있다. 1940년 시행된 ‘대한민국 임시 약헌’에는 선거 연령이 만 18세 이상으로 명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의 선거 연령보다 높은 만 19세부터 선거권을 부여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퇴화라는 주장이 일 수 있지만 여러 논점을 살펴보면 민주주의의 퇴화라는 이유로 선거권 하향을 쉽게 결정할 수만은 없다.
우선 선거권 연령 하향 찬성 측의 첫 번째 논점은 청소년의 정치 참여의식과 시민의식이 고양되었다는 것이다.
청년들 스스로도 정치 및 선거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2014년 12월에 본격적으로 「청년선거 네트워크」를 설립하였다. 2016년 9월 현재 전국 39개 지역별로 소그룹이 형성되어 Facebook 및 홈페이지를 통해 활동을 널리 홍보하고 있으며 지역별 주요 활동을 보면, 초·중·고등학교에 출장 수업, 성인식에서의 모의 선거 실시, 선거 카페 설치, 정기적인 스터디, 지역 및 대학 축제 참여를 통한 인식개선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보면 청소년들이 정치에 관심이 많고 참여하려는 의지가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논점은 고령화에 따라 선거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전체 인구 중 20대는 17%, 65세 이상은 7%에 불과하였지만 2010년 통계를 보면 20대는 13%, 65세 이상은 16%로 한국의 고령화가 점점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의사 반영이 한국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층이 아닌 노년층에게 집중되는 것을 보여주고 이에 따라 청소년층으로의 선거권 확대가 필요해짐을 의미한다.
세 번째 논점은 청소년은 충분한 지적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청소년 정책 연구원에서 발표한 <청소년 가치관 비교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사회적 이슈나 쟁점, 정치 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100점 만점에 57.7점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사회적 이슈나 쟁점, 정치 문제에 대한 의견 표출 의사’를 가진 청소년의 비율도 2007년 46.2%에서 2010년 54.6%로 증가했다. 이러한 예시는 현재 우리 사회 청소년들에게 정치적 권리를 행사할 판단 능력과 욕구가 충분히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회에서는 선거연령을 18세로 인하하자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7건이나 발의된 상태이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한 2016년 8월 유권자의 참여를 대하기 위해 선거권자의 연령을 현행 19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하는 내용의 ‘정치관계법’개정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정치적 의사 표현은 투표를 통해 최종 결과가 나타나고, 선거는 대의민주제 내에서 국민이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기 때문에 선거권을 확대하는 것은 정치적 기본권의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찬성 측은 이런 이유로 선거권 연령을 하향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한다. 하지만 반대 측도 여러 논점이 있긴 마찬가지이다.
첫 번째 논점은 현 선거권 연령은 헌법에 따라 제한한 것이라는 점이다.
헌법 제37호 2항에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 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처럼 국민의 기본 권리는 헌법정신에 의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하나, 국정 농단을 더불어 여야 간의 정치 과열의 상황을 고려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두 번째 논점은 재정적 부담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2012년 10월 24일 행정안전부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2년 대선에서 만 19세 이상 유권자 약 4052만 명의 투ㆍ개표 등에 들어가는 예산은 총 2363억 원이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국내 유권자 1명이 투표하는 데에 5830원이 드는 것이다.  만 18세인 약 64만 명을 토대로 대략적인 계산을 해보면 37억 원의 재정적 부담을 안겨준다.
세 번째 논점은 청소년의 정치적 관심과 이에 대한 노력은 일시적이며 일부 청소년에게 한정되어있다는 것이다.
2016년 10월부터 시작된 촛불 집회에 여러 명의 고등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전국의 모든 청소년이 그만큼의 정치적 사고를 다 갖추고 있지는 않다. 능동적이고 성숙한 사고를 할 수 있는 청소년은 일부에 불과하며 이조차 정치적 사건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일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2013년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의 만 18세는 현 민법상 ‘독자적으로 유효한 법률행위를 할 수 없는 자’로, 행위 능력자로 분류되고 청소년은 정치적, 사회적 시각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으며 현실적으로 부모나 교사 등 보호자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토대로 만 18세는 물질적, 정신적 측면에서도 보호자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자기 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한 상태라며 현 공직선거법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다. 반대 측은 이런 이유로 선거권 연령 하향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한다.
선거권 연령 하향에 대해 여러 가지 주장을 하며 치열한 토론이 이뤄지곤 한다. 여러 논점을 살펴보면 선거권 연령 하향은 쉽게 결정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르헨티나는 2012년 선거권 연령을 18세에서 16세로 하향하였다고 한다. 선거권 연령은 이런 다른 나라의 결정을 따라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각 나라의 교육, 정책 등 특수한 실정에 맞추어야 하는데 보수 정당에서 진보 정당으로 정권이 바뀐 현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적정 선거권 연령 논란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보일지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이지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박지혁기자 2017.09.10 04:41
    만 18세는 정치적 판단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가 꼭 OECD를 따라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만 19세 투표권을 유지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염가은기자 2017.09.10 12:25
    음..모든 상호대립 의견이 그렇듯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고 보는데 저는 만 19세 투표권에 찬성합니다. 만18세에는 판단력이 다소 부족한 경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김동수기자 2017.09.11 05:09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5기정용환기자 2017.09.12 00:40
    다른분들처럼 저도 선거권을 가지는 나이는 지금이 적당하다고 생각해요.
    제가 봐온 또래의 친구들은 성숙하지 못한 판단을 내릴거 같아서요.
  • ?
    6기오지석기자 2017.09.22 14:01
    18세 이하도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관심과 열정으로 바로 투표행사하기보다는 투표권을 행사하는 19세이상의 사람들과 정치적 상황을 보면서 자신의 정치 판단력을 향상시키는게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 ?
    5기한동엽기자 2017.09.24 12:56
    정치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은 어느 나이대이든 존재하며, 그 성숙도를 따지자면 천차만별입니다. 청소년 계층에서도 미성숙한 사람이 분명히 있으며, 어른들 중에서도 미성숙한 사람이 분명히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청소년 계층이 인터넷으로 무분별한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편협적 시각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선거권자 계층을 낮추는 것은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8543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543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68339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file 2020.11.04 김진현 11925
바이든을 지지한 "너희가 멍청한 거야", 전 민주당 소속 여성 리더가 말하다 1 file 2020.11.03 김태환 10922
미 대선 마지막 토론… 트럼프, 김정은과 “특별한 관계”…바이든, “비핵화 위해 김정은 만날 것” file 2020.11.02 공성빈 9708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2521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7412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7842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6971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6886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1 file 2020.10.28 명수지 6778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6602
예방인가? 위협인가? file 2020.10.27 길현희 7487
인천국제공항 드론 사건 1 file 2020.10.26 이혁재 8666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065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9464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7032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7591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0853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9215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3760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9498
美 대통령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곧 돌아올 것" 2020.10.14 임이레 6625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6951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2020.10.08 박재훈 6509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9356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7417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8275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6643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7114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file 2020.09.28 김시온 7525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0741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2020.09.28 이수미 8593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7055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2178
미국 대법관이자 미국 여성 인권 운동의 상징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별세 file 2020.09.25 임재한 8894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8031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9228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file 2020.09.23 심승희 8923
중국 비상 코로나19에 이어 중국에서 브루셀라병 대규모 확진 file 2020.09.23 오경언 7203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0208
'아베 시즌 2', '외교 문외한'... 그래도 지지율 74% '자수성가 총리' file 2020.09.23 신하균 8355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7637
화재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1 file 2020.09.22 정주은 9667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0109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7850
공공의대 설립, 정부와 의사 간의 팽팽한 논쟁, 그 승자는? file 2020.09.21 김가은 11261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7047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7002
필리핀 네티즌, 한국을 취소하다? 1 file 2020.09.15 황현서 81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