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토론광장] 솜방망이 처벌, 일부의 문제

by 5기위승희기자 posted Oct 09, 2017 Views 117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yp_displayad_8thuniv.png

ed8e789e98fd589d4613f561e915d969.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위승희기자]


최근 이어진 '청소년 폭행 사건'으로 인해 '소년법 폐지'에 대한 사람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번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은 가해 학생들이 자신들에게 '소년법'이 적용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벌인 범죄였기 때문에 더 큰 충격을 안겨 주고 있다. 그런데도 소년법 폐지를 반대하는 목소리 또한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이번에는 솜방망이 처벌밖에 되지 않는 소년법을 폐지하자는 측과 엄벌주의가 범죄 감소와 예방에 효과가 없다는 측의 주장을 각각 살펴보았다.

소년법은 말 그대로 미성년자에게 한 번의 기회를 더 주는 것이다. 우리나라 현행법은 만 10세~14세 미만은 촉법소년으로, 만 14세~19세 미만은 범죄소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촉법소년에게 처벌은 금지되어있으며, 범죄소년 또한 '가벼운 법적 책임'만을 받게 된다.


찬성 측 근거

솜방망이 처벌에 죄의식이 사라짐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이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이다. 수면 위로 처음 올라오게 된 폭행은 1차 폭행이 아니라 2차 폭행이라는 점이 많은 사람에게 충격으로 다가왔다. 사건을 요약해보자면, 1차 폭행은 2개월 전 가해자의 남자친구 전화를 받았다는 이유로 총 5명으로부터 집단폭행을 당해 전치 2주 정도의 상처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경찰 행정상 사건이 발생하여도 소년법이 적용되어 구치소를 가게 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훈방 조치 후 가해자들은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이후, 경찰에게 고발했다는 것에 대해 복수심을 안고 결국에는 추가 피해를 만들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처벌을 강하게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이미 인지하고 악용하는 사례도 속속히 드러나고 있다.


반대 측 근거

일부의 문제이므로 일반화하면 안 됨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과 같은 가해자들의 사례는 극소수이다. 물론, 한 번의 범죄를 저지르고도 반성의 기미 없이 계속해서 범죄를 저지르는 청소년이 존재한다. 하지만 반대로, 범죄를 저지른 후 정신을 차리고 새로운 인생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청소년도 존재한다. 그들에게 어른과 똑같은 죗값을 치르게 하고, 사회적으로 낙인찍혀 살아가게 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 따라서 가해자가 죄를 뉘우치고 사회에 복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인 소년법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


처벌강화, 폐지만이 문제가 아니다


-아직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여러 청소년은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현대에는 미디어의 발달로 다양한 범죄유형을 접하기 쉽다. 따라서 범죄는 그들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을 위한 사회 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의 교육에 관심을 가지며 살아가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위승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558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2519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37502
땅울림 동아리;대한민국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2017.11.30 안정민 12483
따뜻한 봄날 피크닉, 그 뒤에 남은 쓰레기들 4 2015.05.24 신정은 24070
딜레마에 빠진 청와대 국민청원,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7 남홍석 8081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6319
등교시 단정한 교복.. 저희에겐 너무 답답해요 4 file 2016.03.24 박나영 18766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6608
들썩이는 불의 고리, 지진 대처법은? 1 file 2016.04.26 김정현 14141
드론 야간 비행 허용 국회 통과 ···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건 아니야 1 file 2017.07.25 이정수 9963
드라마, 과연 현실성은? 3 file 2016.04.20 이민정 14567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file 2022.02.03 김희수 7736
뒤늦게 알게된 요양원 건설 소식, 주민들의 반발 file 2018.02.26 하태윤 10361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18906
동성애 차별금지법과 동성혼 허용 개헌을 반대하는 대학 청년 연대, 기자회견을 열다. 2 2017.08.12 박수빈 11072
동물보호법, 유명무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2 file 2016.07.25 김혜빈 12850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7211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12841
돌고래들의 권리는 안녕합니까? 13 file 2016.02.22 김승겸 15838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6003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유튜버 file 2020.12.29 윤지영 7016
돈 없이도 가능한 해커 : 피해 급증하는 랜섬웨어 1 file 2017.02.13 김지환 16658
독도를 향한 그들만의 외침 file 2018.04.16 최운비 10568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3 file 2016.03.20 정아영 43732
독도는 협상 조건이다? file 2019.06.13 맹호 9777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9397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9888
독도, 기억해야 할 우리의 땅 2017.10.25 김민영 10583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6750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6634
독감 예방주사, 선택이 아닌 필수다 2 2017.10.20 박채리 11874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2049
도편 추방제와 탄핵 1 file 2017.02.25 김지민 15013
도시가스 요금 인상과 누진세 개편 file 2016.12.25 장서윤 27736
도서정가제 전면시행 그리고 2년, 3 file 2017.01.25 이다은 17170
도를 넘어선 길거리 쓰레기.. 해결책은? 1 2017.08.05 이승우 16804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7530
도로를 내 집 창고처럼 file 2016.06.19 한종현 13902
도로 위의 무법자, 버스 7 file 2017.01.21 신승목 15813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7311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8522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9494
도날드 트럼프와 할리우드, 그 불편한 관계 6 file 2017.01.25 장윤서 15133
덴마크 법원, 정유라 구금 4주 연장...송환 장기화 2 file 2017.02.25 박지호 12209
덴마크 - 한국 수교 60주년 file 2019.05.29 남윤서 8619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10311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7471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5064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대표 이낙연, 그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것인가 file 2020.09.04 문해인 5927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66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