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인공 조명을 통한 광합성

by 7기이승민기자 posted Jul 10, 2018 Views 166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인공조명 광합성 자료 (직접 촬영).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승민기자]


최근 들어 급증하는 이산화탄소에 따른 지구 온난화 문제에 전문가들은 다양한 대책들을 세우고 있다. 그중에 하나로 가장 잘 알려지고 쉬우면서 접근성이 뛰어난 해결책은 식물을 많이 심는 것이다. 식물을 심게 되면 지구상의 이산화탄소가 산소로 바뀌고, 이에 따라 지구 온난화를 최소한으로 만들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식물을 가장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곳이자 우리에게 비교적 직접적으로 산소를 배출하는 것이 집안에 보관하는 식물이다. 이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해 빛이 나는 곳, 즉 광원이 필요하지만, 실내에 있기 때문에 햇빛보다는 인공조명에 의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식물은 광합성을 할 때 광원의 색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널리 이해되고 있다. 각 광원마다 파장이 다르며, 우리 눈에 보이는 400~700nm의 파장 영역이 식물 성장에 필요한 파장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각자의 집에 사용하는 광원; 전구, 백열전구, LED 전구 등은 다르고, 이에 따라 광합성 속도가 달라진다. 이 광합성을 가장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식물에게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서 식물이 가장 많은 양의 산소를 내보낼 것이다.

형광등의 겉면 온도의 경우는 2700과 6500k 사이의 색온도를 기본적으로 나타낸다. 수명의 경우, 백열등보다는 길지만 LED에 비해 크게 낮다. 이러한 효율적인 면들에 의하여 형광등은 일본 등등의 나라의 수경재배 시스템에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이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이를 통해 자원낭비만 아닌, 엄청 과다한 전력 소모를 감수해야 된다. 또한, 760시간 동안 빛에 노출되어야 큰 효과가 있다.

반면에, LED 전등의 경우는 내구성이 있고 이 조명 기구는 소비 전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50,000시간이라는 엄청난 내구성을 자랑하는 면에서는 우세하다. 또한, 미세소타 대학의 원예기술부에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이 두 가지 램프를 이용하여 7주간 식물을 키워서 키 성장을 비교해보니, LED가 압도적으로 성장률이 높았다는 결과가 있었다.


LED 식물 성장 조명을 이용하는 것이 다른 인공조명들에 비해 식물 성장을 빠르게 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를 통해서 집안에서 식물을 기를 때는 LED 전구를 사용하여 평소에 다른 광원을 사용했을 때보다 광합성량이 늘어나서 비교적 많은 양의 산소를 배출하게 된다. 이것은 지구 온난화를 줄이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7기 이승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667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3456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48277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2923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4201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7182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6 2017.01.23 김가은 16327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6845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6754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8229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7189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6762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3409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1141
진짜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file 2017.02.24 이소미 18357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3896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2586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7519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9635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6634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4753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3088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19251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1175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5770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0709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7005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2516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4475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8412
지역 환경전문가와 돌고래 보호 운동 나선 제주도 청소년들 2023.11.22 박유빈 2586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8185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5938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1862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8353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4884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9759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18575
지구촌을 공포에 빠져들게한, 여성혐오문제'페미사이드' 2 file 2016.05.25 장채연 16280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4 file 2016.04.25 김예지 14596
지구온난화 심각···몇십 년 내에 사과농장 사라져··· 1 file 2017.11.27 김정환 11750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8994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0155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2043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4213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9287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7650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5583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3 file 2016.04.24 김현승 16869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5441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5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