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by 4기서은유기자 posted Jul 30, 2017 Views 315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0725_214627288.jpg

[이미지 제공= 원광여자고등학교 홈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매년 7월과 12월, 학기 말이 되면 교사들과 학생들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느라 바쁘다. 학교생활기록부 (이하 학생부 또는 생기부)란 학생의 학적을 기록한 장부로, 학교 성적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특별 활동, 행동 특성, 신체적 발달 사항 등이 기록된다. 주로 해당 학생이 소속된 학급의 담임 교사에 의해 작성되며, 고등학교 혹은 대학 신입생 선발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현재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나이스)을 통하여 작성, 관리된다.

그러나 대다수 학교에서, 담임교사 혹은 교과 담당 교사가 마감 기한을 정하여 학생들에게 생활기록부를 교사의 관점에서, 형식에 맞춰 써서 가져오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셀프 생기부'라고 불리며, 생활기록부의 신뢰도 측면에서 논란이 되는 문제이다. 교육부는 지난 2월 '2017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개선 및 유의사항'을 발표하여 학교생활기록부의 신뢰도를 저하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학생에게 학교생활기록부 서술식 항목에 기재될 내용을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는 사례를 절대 금지 [셀프 학생부 금지]'라는 내용을 언급할 정도로 강하게 규제하고 있지만, 실제 지켜지는 학교는 드물다.

'셀프 생기부'가 고등학교 내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또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원광여자고등학교 A 학생은 "기말고사가 끝나면 과목 선생님들이 전부 방학 전까지 날짜를 정해서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과목별 독서활동을 써오라고 하신다. 생활기록부 예시문을 주면서 메모장에 형식에 맞게 입력해서 제출하고, 12월에는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진로활동, 자율활동, 행동 특성 및 종합의견까지 전부 써서 내야 하니까 진짜 힘들다. 심지어 학생에게 받은 걸 그대로 입력하시는 선생님도 있다."라고 말했다. 학생이 쓰는 항목도 학교별로 다르다. 위 예시와 같이 모든 항목을 학생에게 기재해오라는 경우,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만 써오라는 경우, 행동 특성 및 종합의견을 제외한 모든 항목을 기재해오라는 경우 등 다양하다.

이에 대해 원광여자고등학교 B 교사는 "원칙상으로는 당연히 교사가 써야 한다. 그렇지만 상식적으로 교사가 100명이 넘는 학생들의 생활기록부를 전부 작성한다는 게 불가능하고, 그 학생이 수업시간에 뭘 했는지 전부 알 수도 없다. 정말 원칙대로 써야 한다면 오히려 학생들이 쓰고 싶은 내용을 넣지 못해 손해를 볼 수도 있다. 많은 학생의 생활기록부를 써주려면 이 방법이 제일 빠를 것이다."라고 전했다.



KakaoTalk_20170725_22502910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은유기자]


이처럼 생활기록부에 들어갈 내용을 학생이 직접 써서 내는 상황이 비일비재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일부 학교에서는 학교 측에서 생활기록부에 들어갈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노트를 만들어 배부하고 교사가 생활기록부를 작성할 때 참고하는 방안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마저도 생활기록부의 신뢰도 측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셀프 생기부'의 대안 없는 강력한 제재보다는 많은 학생들의 신뢰도 있는 생활기록부 작성을 위한 효율적인 대안이 필요하지 않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서은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최다인기자 2017.08.01 06:38
    사실 교사가 학생 한명한명의 생기부를 전부 쓴다는 게 상식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죠. 그렇다고 학생들 개인에게 맞기자니 생기부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정말 골 아프겠어요!
  • ?
    4기김단비기자 2017.08.02 07:27
    학생들이 쓴 생기부를 그대로 옮기는 것도 문제인 것 같아요. 교사가 모든 학생들의 생활기록부를 직접 쓰는 건 무리겠지만, 학생들이 보낸 내용이 옳은지, 사실인지 검토 정도는 해야 하는데 말이에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신예진기자 2017.08.03 22:39
    좀 전에 학생들이 셀프 생기부에 대해 우호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기사를 보고왔는데요 물론 저도 우호적으로 생각하고있었고요. 근데 그 행위가 금지되어있는지는 몰랐네요. 그렇지만 여러 학생들이 생각하는바와 같이 여러 선생님들께서 모든 학생들의 특징을 알고 학생들이 한 학기동안해왔던 활동들에 대해 전부 알고계시지는 못하니깐문제가 되는 것 같아요.제 생각에는 이건 학생들의 문제인 것 같네요. 학생들이 얼마나 거짓없이 순수하게 자신을 표현해내는지에 달려있는 것 같아요. 선생님들의 선택에도 달려있는 것 같아요. 모든 선생님들에게 셀프생기부는 고민해봐야하는 사안이되야겠죠. 무작정 학생들을 신뢰하기에는 모순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교육청으로부터 금지되어있는 것이긴 하지만 복잡하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성채리기자 2017.08.03 23:40
    교사가 수많은 학생들의 생기부를 다 써주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것도 문제가 되겠지만 교사 한 사람이 생기부를 쓰다보면 천편일률적인 글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죠. 이러한 점에서 셀프 생기부는 교사가 학생들 스스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한 활동, 노력, 그로 인한 인식 및 행동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수많은 생기부에 각각의 개성과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어색하게 미사여구 등을 포함하여 마치 교사인 양 형식적인 생기부를 쓰도록 하는 것보다는 교사가 학생들의 장점과 활동을 충분히 반영하여 생기부에 드러낼 수 있도록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한 활동과 느낌, 인식 변화 등을 비교적 자유롭게 작성해 참고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듯합니다.
  • ?
    4기사회부기자김재정 2017.08.04 00:18
    선생님의 수정 없이 학생들이 작성한 생기부의 내용을 기재한다면 문제입니다. 하지만 교사가 학생들의 활동의 내용, 목적, 의의, 취지 등을 모두 기록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참고사항으로 필요한 것이죠. 만약 참고할 내용이 없이 공통 발표나 과제로만 채운다면 학교가 획일적인 학생만 찍어내는 공장이 되겠지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사회부기자김재정 2017.08.04 00:18
    선생님의 수정 없이 학생들이 작성한 생기부의 내용을 기재한다면 문제입니다. 하지만 교사가 학생들의 활동의 내용, 목적, 의의, 취지 등을 모두 기록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참고사항으로 필요한 것이죠. 만약 참고할 내용이 없이 공통 발표나 과제로만 채운다면 학교가 획일적인 학생만 찍어내는 공장이 되겠지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5기이영웅기자 2017.08.06 16:35
    셀프 생기부가 학생들에게는 좋을 수도 있지만, 과연 객관성이 보장될지는 의문입니다. 물론 담당교사가 왜곡된 내용은 일부 수정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보완이 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6526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3309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46649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19174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8638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081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7428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1956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0209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19224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7866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016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19229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19673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8495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200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0685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8205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0656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1953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8682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066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8124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7909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3276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8900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1744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4321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7986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0147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082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8924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7664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7866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2415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1394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1436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8489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0002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1523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2230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4899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1564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19923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19195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0032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1062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5483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5605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4852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41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