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by 온라인뉴스팀 posted Jul 17, 2017 Views 96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마스터카드, 미국 터프츠대 플레처스쿨과 ‘2017 디지털진화지수’ 발표 
한국, 현재 기준 디지털 수준 높지만 최근 10년 성장속도 더뎌… ‘정체군’ 단계 분류

마스터카드가 미국 터프츠대 플레처스쿨과 공동으로 조사한 ‘2017 디지털진화지수(Digital Evolution Index 2017)’를 1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60개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 정도와 온라인 연결성 등을 총 170개의 지표를 활용해 측정한 결과다. 

3698601005_20170717085313_9648819794.jpg

[이미지 제공=마스터카드, ⓒ마스터카드]

이번 조사에서 한국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변혁을 경험했지만, 앞으로 더욱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부족한 국가로 진단됐다. 현재의 디지털진화지수는 조사 대상 60개국 중 7번째로 높았다. 하지만 2008년부터 2015년 사이의 디지털 변혁 속도를 기반으로 미래 성장 가능성을 측정한 순위에서는 49위에 머물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은 미국,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등 대부분 서구 선진국들과 함께 ‘정체’ 단계에 속했다. 

◇각 단계별 국가 분포 
우월군(Stand Out): 싱가포르, 영국, 뉴질랜드,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이스라엘 등 
정체군(Stall Out): 한국,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호주, 노르웨이, 스웨덴 등 
잠재군(Break Out): 중국, 케냐, 러시아,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부진군(Watch Out): 서아프리카, 페루, 이집트, 그리스, 파키스탄 등 

마스터카드와 플레처스쿨은 조사 결과 리포트를 통해 현재의 디지털 진화 수준이 향후 미래의 성공까지 보장하지는 않는다며 혁신에 얼마나 개방적이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지가 국가의 미래 성장을 결정짓는 결정적 요인이며, 정체 단계에 속한 국가들은 디지털 경제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혁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또한 국가별로 디지털 신뢰 수준을 평가했다. 디지털 경제와 관련한 실사용자의 경험이나 수용 방법, 국가 및 당국의 정책 방향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디지털 경제를 얼마나 신뢰하고 있는지를 가늠한 결과다. 한국은 당국의 정책이나 규제적 요소 등을 평가한 환경, 소비자의 디지털 경제 신뢰수준 등을 분석한 경험 등 카테고리에 조사 대상 42개국 중 8위와 3위를 각각 기록했다. 

아제이 발라 마스터카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리스크 및 보안 부문 회장은 “첨단 기술은 경제를 발전시키고 모두의 삶을 더 윤택하게 만들 수 있지만 이 같은 성장은 건전한 디지털 생태계에 대한 신뢰와 확신이 있을 경우만 가능하다”며 “현재의 연결사회에서 신뢰와 보안은 디지털 발전의 중추적인 요소”라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온라인뉴스팀

korea@youthpress.net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6603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3363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47280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19208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8684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101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7456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1984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0236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19260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7894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032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19246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19706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8520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223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0730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8232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0685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1981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8731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097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8155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7955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3320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8943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1782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4354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8045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0176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122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8961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7694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7892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2443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1412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1462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8518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0049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1550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2252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4961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1598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19965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19241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0076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1101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5520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5653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4882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41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