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by 4기정혜정기자 posted Feb 19, 2017 Views 250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의 국정 농단 논란을 시발점으로 임기 개헌을 비롯해 개헌에 대한 논의가 불판에 올려졌다. 현재 우리나라 헌법상 대통령 임기는 5년 단임제이다. 5년 단임제는 독재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채택되었으나, 재집권이 불가능해 무책임한 국정 운영을 하였을 경우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4년 중임제 등 임기 개헌에 관한 여러 가지 방향들이 여론 내부에서 제시되고 있다.


  그렇다면, 5년 단임제와 4년 중임제는 뭐가 다를까? 5년 단임제는 대통령이 5년 동안 집권할 수 있는 반면에, 재집권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튼튼한 계획보다는 앞서 우리나라를 끌어왔던 대부분의 정부들이 그러했듯이 단기적이고 표면적인 ‘보여주기 식’ 정책들만 쏟아낼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가 계속 5년 단임제를 채택해 왔던 이유는 독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4년 중임제는 5년 단임제와는 달리 대통령이 4년 동안 집권할 수 있고, 민심을 얻어 대선에 다시 출마하여 당선될 경우 4년 동안 다시 집권할 수 있다. 5년 단임제에 비해 임기가 짧고, 신뢰도가 높았던 정부가 다시 국정을 이끌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재집권 후 무책임한 국정 운영을 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현재 미국이 4년 중임제를 채택하고 있다.


  기자는 대통령 임기 개헌에 관련한 민심을 조사하기 위해 2017년 1월 15일부터 18일까지 4일간 포털사이트 폼을 통해 임기 개헌, 개헌 시기, 그 외 국정 운영에 관하여 의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혜정기자]


  조사 결과 4년 중임제를 찬성한 사람은 투표에 참여한 인원 중 과반수 이상인 58%를 차지해 현재 대한민국이 채택하고 있는 5년 단임제를 훨씬 앞섰다. 4년 중임제를 찬성한 응답자들의 응답 이유는 “30년도 넘은 헌법은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맞지 않아서”, “5년의 경우 마지막 즈음에 책임감이 결여될 수 있어서”, “4년 동안의 국정을 평가하고 연임을 정할 수 있어서”, “여러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장기적인 시간이 요하기도 해서” 등으로 앞서 말했던 4년 중임제가 정치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장점에 주목한 사람들이 많았다.


  반면에 5년 단임제를 찬성한 사람들은 “독재를 막을 수 있어서”, “단임제가 깔끔해서”, “나라의 정책시행과 결과를 확실히 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해서” 등의 찬성 이유를 밝혔다. 일부는 5년 단임제를 유지하되 1년마다 평가회를 거쳐야 한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 외 기타(9%)에 답한 응답자들은 3년 연임제, 4년 단임제, 입헌군주제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설문조사 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혜정기자]


  임기를 개헌해야 한다고 답한(4년 중임제, 기타) 67%의 응답자들은 개헌 시기에 대해 ‘대선 전(38%)’보다 ‘대선 후(62%)’에 더 많은 응답을 했다. ‘대선 전(38%)’을 찬성한 응답자들은 “대선 전에 마무리 되면 분쟁이나 소란의 여지가 줄어들 것이라서”, “선거 후 개헌하는 것은 부적절해서”, “촛불 민심이 최고조인 상황에서 개헌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유리해서” 등의 이유를 작성했다.


  ‘대선 후(62%)’에 답한 응답자들은 “합의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해서”, “현 시국에서 개헌에 열을 올리는 것은 사회적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서”, “이 사안을 대선에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세력이 발생할 수 있어서” 등의 이유를 제시했다. 대부분은 대선 전에 충분한 합의 후 개헌을 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 외, 임기 개헌에 관련해 “헌법가치도 국민의 뜻이 반영되어야 한다.”, “권한이 대통령에게 과도하게 집중된 현 제도 개편이 시급하다.”, “국회와 국민의 소통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내의 특수한 안보 상황을 고려해 강력한 권력을 가진 대통령이 필요하다면 이원집정부제가 적합하다.”라는 의견을 보인 응답자들도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 시국에 개헌을 하면 시간도 부족하고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으니 대선 후 정부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4년 중임제로 개헌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될 수 있다. 한편 2017년 02월 19일 기준 대선 주자 6명 중 3명(문재인, 이재명, 유승민)이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입헌군주제, 전제군주제가 아니라 대통령제이다. 대통령은 왕이 아니라, 국민에 의해 선출된 국민의 의견을 대표하는 대표인이다. 국민들은 국민과 소통하는 대통령, 새로운 역사의 장을 열어 줄 정치적·역사적·도덕적 의식을 가진 대통령, 공평하고 봉사하는 대통령을 원한다. 그만큼 대통령의 임기 개헌은 언젠가는 필히 다뤄져야 할 중요한 사안이다. 국민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깨끗하고, 서민들을 위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소망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정혜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우빈기자 2017.02.21 01:16
    5년 단임과 4년 중임,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 제도입니다. 설문조사를 직접 진행하셨던 그 열정이 보였던 멋진 기사였던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기자신용휘 2017.02.21 01:35
    평소 관심있던 분야라 관련기사가 없나 찾아보다가 좋은 기사 읽고 갑니다.
  • ?
    5기정예진기자 2017.02.22 16:59
    장단점이 뚜렷한 제도인만큼 아마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ㅎㅎ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4기이하영기자 2017.02.27 02:19
    기사 한편을 쓰시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신 것같고, 본받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인상깊은 기사 잘 읽고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6656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3419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47889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7022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8090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7354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0836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4223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6490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4121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4373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5820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0004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9610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7745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5461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5302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6120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7786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7056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2900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6056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9143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4437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5573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7564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3736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8987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7962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9380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1345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1039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3392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6782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0278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3835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5710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6809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9347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1483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1190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6051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5994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0418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6663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6420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99402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5862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9281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1591
4월 한반도 위기설 뭐길래? 1 file 2017.04.21 송선근 87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