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by 4기이승희기자 posted Mar 22, 2017 Views 91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국 연방준비제도위원회는 현지시간 15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50~0.75%인 기준금리를 0.75~1.00%로 0.25% 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2011년 이후로 양적완화(경기 침체기에 중앙은행이 시중에 통화를 직접 풀어 경기를 살리는 정책)을 펼쳐 금리를 제로금리에 가깝게 유지했던 미국이 경기가 살아날 조짐이 보이자 이제 시중에 풀었던 통화를 다시 정부로 가져온다는 것이다.


신용등급도 좋고 금리가 높다면 당연히 투기자본이 움직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미국은 세계적인 금융시장의 중심지이고 달러화는 세계적인 통용화폐이다. 이것은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림에 따라 국제적으로 자본의 흐름이 달러 쪽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 모든 곳에 투자된 투기자본들이 미국으로 쏠림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자본 흐름의 변화는 국내에서 외국 자본들이 빠져나간다는 것인데, 당연히 주식시장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국내 주식시장은 해외투자자들이 혹시나 빠져나갈까 봐 두려워하는 부분들이 있다. 금리가 제로에 가까웠기 때문에 해외로 투자된 미 본국의 자금은 금리가 회복되었을 때에 그만큼 다시 투자가 회수되기 쉽기 때문이다.


이런 투기자본이 자국 내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려면 자국의 기준금리를 올려야만 어느 정도 묶어둘 수 있는데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중앙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시중은행들의 예금금리, 대출금리도 자연히 상승하게 된다. 그동안 저금리 때문에 은행에 돈을 맡길 이유가 없었던 예금자들이 금리가 올라갔기 때문에 안전하게 은행에 맡기고 이자소득을 바라는 수요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점은 대출금리가 상승한다는 것이다. 사실 일반 서민들의 피부로 와닫는 것은 예금금리 인상보다 대출금리 인상 부담이 훨씬 크다. 우리나라 주택 담보대출의 경우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데, 그중 70% 이상이 변동금리를 이용하고 있다. 금리가 낮아 대출을 해 주택을 구한 가계들이 금리가 상승하여 이자 부담이 커진다는 것이다.


금융감독원.PNG

[이미지 제공=금융감독원]


그렇다면 가계부채 증가 때문에 가계는 부담이 되어 자동으로 소비가 줄어들고 이자 갚기에 급급할 것이다. 또한 높은 이자를 주면서 돈을 빌려 쓰는 일이 점점 줄어들게 되고, 연체가 일어날 확률도 높아지게 된다. 이는 돈의 흐름은 점점 경색되어 간다는 것이고, 결국 경기 침체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로서 한국은행은 이러한 상황을 예상해 금리 동결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전문가는 앞으로 국내 금융 외환시장은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외에도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 중국의 대한국 정책, 유럽의 정치 상황 등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이승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6656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3418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47873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5095
청소년들의 비속어 사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주진희 65152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19526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1924
청소년들을 좌지우지 할 대선 후보들의 교육정책 3 file 2017.05.07 김서영 10158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2803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17410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6011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9981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2827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3399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file 2019.01.04 하예원 12733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11651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9754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0903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0189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2879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0919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2081
청소년 투표권,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12 file 2017.01.17 신호진 35985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5489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9642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4 file 2018.02.21 변정윤 11529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18600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28830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1662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5283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8176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9534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7195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2240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5063
청년실업률 40%시대, 청년들의 디딤돌 '서울시 뉴딜일자리사업' 1 file 2017.01.23 김지수 18546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4692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6633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5258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0871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2593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7251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8304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1369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0877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7438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6194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6649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4595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4155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95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