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예술인협회, ‘2022 장애예술인수첩’ 발간

by 이지원기자 posted Dec 09, 2022 Views 133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1017998_20221208153104_7590861227.jpg
[이미지 제공=한국장애예술인협회,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한국장애예술인협회는 550명 장애예술인의 경력이 수록된 ‘2022 장애예술인수첩’을 내놓았다. 별칭으로는 ‘A+수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A+는 able·access·ace Art를 의미한다.

2022년은 장애인예술의 획기적인 해이다. 윤석열 정부 120개 국정과제 가운데 57번째에 장애예술인에 대한 지원이 포함돼 장애예술인들이 큰 기대를 하는 가운데, 장애인예술정책의 기초 자료가 될 장애예술인수첩이 발간됐다.

우리나라 장애인체육은 1988년 서울장애인올림픽을 기점으로 급속히 발전했지만, 장애인예술은 이제 시작이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는 2020년 세계 최초의 ‘장애예술인지원법’이 제정됐고 법률에 따라 기본계획을 세웠지만, 아직 제도화되지 않고 있어 장애예술인 지원정책을 위해 우리나라 대표 장애예술인들의 예술 경력을 담은 수첩을 만들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2022 장애예술인수첩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면 △미술이 30%로 가장 많았고 △음악(27%) △대중예술(22%) △문학(21%)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에 따르면 남성이 67%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해 여성장애인의 예술 활동이 여전히 위축돼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장애예술인의 장애 유형별 분포는 지체장애가 가장 많은 41%를 차지했고, 자폐성장애와 지적장애를 합하면 22%로 절대 적지 않은 수이다.

장애유형은 장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지체장애는 전 장르에서 고른 우위를 보였고, 미술은 청각장애, 음악은 시각장애가 강세를 보였다. 그리고 지적·자폐성장애인은 문학과 대중예술에서는 매우 저조했으나 미술과 음악에서는 활동이 많은 것이 큰 특징이다.

장애예술인 데뷔 방식을 보면 장애인예술 분야에서 데뷔한 경우가 53.2%, 비장애인예술 분야에서 데뷔한 경우가 46.8%로 비장애인예술계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장애인예술계에서 데뷔한 장르는 문학이 60%로 가장 많았고, 음악이 32%로 가장 낮아서 음악 부문이 아직 장애예술인에 대한 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예술인 68%가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었는데, 예술고등학교와 대학 아카데미에서 예술을 공부한 것까지 포함해 예술 전공을 산출하면 장애예술인 46%가 예술 전공자이다.

2022 장애예술인수첩 분석을 통해 장애예술인의 창작 활동이 매우 전문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는 장애예술인이 비장애예술인에 비해 전문성이 부족할 것이라는 판단은 잘못된 편견이었음이 드러났으며, 우리나라 장애예술인의 수월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이 증명됐다고 설명했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방귀희 대표는 “예술인복지법에 따라 예술인증명제도가 시행되고 있듯이 장애예술인수첩은 장애예술인 증명제도의 기본 자료가 될 것”이라고 그 목적을 밝혔다.

장애예술인수첩 등록 조건은 예술 부문에서 수상 1회 이상 또는 작품 발표 5회 이상으로 경력 3년 이상의 예술인(장애인복지카드 소지)이다. 활동 장르는 △문학 △미술(사진·건축) △음악(국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 △만화(예술 활동 증명 세부 기준)이다.

엮은이는 2022 한국장애예술인수첩발간위원회이며, 후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다. 수첩은 비매품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Articles

2 3 4 5 6 7 8 9 10 11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