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아픈 기억, 킬링필드(Killing Fields)

by 14기윤하은기자 posted Feb 14, 2020 Views 13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세기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전 세계는 큰 혼란과 내분을 겪었다. 그중에서도 20세기 최악의 사건으로 회자되는 캄보디아의 킬링필드는 국가에 의해 양민이 무차별적으로 학살된 사건을 말한다. 이 학살은 1975년 캄보디아의 공산주의 무장단체이던 크메르루주 정권이 론 놀 정권을 무너뜨린 후 1979년까지 노동자와 농민의 유토피아를 건설한다는 명분 아래 200만 명에 이르는 양민을 학살한 사건이다. 이를 주도한 크메르루주의 지도자 폴 포트는 과거 정권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지식인, 정치인, 군인, 부유층은 물론 국민을 개조한다는 명분 아래 갖가지 이유를 붙여 노동자, 농민, 부녀자, 어린이까지 무려 전 인구의 4분의 1을 살해하였다. 크메르루주 정권은 1979년 베트남의 지원을 받는 캄보디아 공산 동맹군에 의해 전복되었으며, 이들의 만행은 캄보디아 뉴욕타임스 특파원 시드니 쉔버그의 기사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한편, 작은 킬링필드라 불리는 시엠립(Siem Reap)의 왓트마이 사원은 캄보디아 역사의 또 다른 비극의 현장으로 크메르루주 정권에 의해 무고하게 희생된 영령을 위로하고자 1998년에 지어진 절이다. 사원에 들어서면 오른쪽에 납골당 형식의 탑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데, 그 안에 있는 수만 개의 유골들은 실제로 당시 학살된 사람들의 유골이며, 아직까지도 캄보디아의 곳곳에서는 비가 오면 빗물에 쓸려 내려오는 유골들이 마을 곳곳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이번 겨울방학을 맞아 초원교실지역아동센터에서는 캄보디아로 해외 역사 탐방을 다녀왔고, 그곳의 아픈 역사를 직접 느끼고 배웠다.


[크기변환]IMG_7109.JPG

[이미지 제공=초원교실지역아동센터 김선희 원장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탐방을 다녀온 초원 교실의 이영준 학생은 그 해골들을 보며 당시의 사람들이 죽기 전에 얼마나 억울하고 슬픈 마음이 들었을지 생각해 보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참혹한 학살은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되며 지금까지도 오랜 전쟁의 피해로 국민들의 삶이 빈곤해짐을 느낄 수 있었다라며 소감을 전했다. 


또한 초원 교실의 윤하경 학생은 총알을 아낀다고 삽과 괭이로 사람들을 때려죽이고, 아기가 커서 복수를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기를 야자수 같은 뾰족한 나무로 찔러 죽였다는 설명문을 읽고 너무 충격적이었다라고 말하며, “심지어는 죽이기 전에 사람들의 쓸개를 적출하여 고위 간부들의 보약으로 사용하기까지 하여 당시의 잔인한 상황들을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IMG_7110.JPG

[이미지 제공=초원교실지역아동센터 김선희 원장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캄보디아 킬링필드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제주4.3사건을 생각해본다. 그때의 우리나라도 정치 문제로 인해 빨갱이라는 누명을 쓰고 학살을 당한 제주 시민들이 약 25,000~30,000명에 달한다. 이마저도 최근에 이르러 진상 규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못한 그때의 진실이 여전히 쌓여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건들이 20세기에 일어난 것은 단순히 한 나라와 개인의 민족성을 탓할 것이 아니다. 당시 이념의 대립으로 민간인 학살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났음을 알고 왜 이런 일들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는지 전후 배경을 살필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후의 대처이다. 정확한 피해자 진상 규명과 국가적 차원의 사과와 보상은 그들에게 보일 수 있는 최소한의 예의이며 마땅한 도리이다. 우리도 이러한 역사를 알고 더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4기 윤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Articles

7 8 9 10 11 12 13 14 15 1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