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경쟁을 불러온 사회적 불평등에 대하여

by 4기최영인기자 posted Oct 30, 2017 Views 958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고등학교 수험생들은 현 입시제도 하에서 대학 입학을 앞두고, 앞으로 이루어나갈 꿈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1508924371474.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영인기자]



학력고사가 폐지되고 수능이 도입되었던 것은 그 당시에는 대단히 큰 혁신이었고 변화로 통했다. 하지만, 과열경쟁을 이유로 수능의 비중은 계속 줄어들고 있으며, 실제로 이미 대학교는 70% 이상의 신입생을 수시전형으로 선발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수시 전형은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학생들의 내신과 비교과 활동을 비롯하여 자기소개서, 면접, 추천서 등으로 대학에 적합한 학생을 선발하는 전형으로, 성적 줄 세우기 등의 교육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시된 대표적인 대안이다. 하지만, 학교가 앞장서 생활기록부를 조작하고, 학생은 허위로 자기소개서를 쓰거나 이를 위해 사교육에 비용을 들이는 상황이 변변찮게 일어나고 있다. 사실상 수능의 영향력이 줄어들었다고 해서 입시 경쟁이 덜 치열해진 것은 아니며, 오히려 사교육 확대를 조장하고 있다는 비판도 받는 실정이다.



지나친 경쟁교육과 대학교 서열화 문제는 우리나라의 교육에 있어 꾸준히 지적받아 온 논쟁거리이며, 교육 혁신에 대한 목소리는 점점 높아져 가고만 있다. 새 정부는 출범 이후, 대학뿐만 아니라 고등학교까지 서열화 되는 현 세태를 해결하기 위해 자사고·외고 폐지와 수능 절대평가 도입을 차례대로 이루어나가겠다고 공언 한 바 있다. 새 정부가 제시한 수능 절대평가가 도입된다면 수능의 영향력은 더욱 줄어들 것이다. 지금까지 거쳐 온 교육 제도를 되돌아본다면, 이 또한 실질적인 대안이 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현 교육제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곧, 지나친 경쟁을 줄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들은 왜 이렇게나 치열한 입시경쟁을 치르게 된 것일까? 간단히 말하자면, 학벌이 좋을수록 취업에 더욱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학벌이 좋은 사람은 대기업에 취직하고, 학벌이 뒤처지는 사람들은 하급 공무원이나 중소기업에서 만족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우리는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입시경쟁에서의 성공이 인생 전체의 성공으로 이루어진다는 것, 이는 전반적인 인생의 질을 결정지어 버리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교육제도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은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학벌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더 이상의 교육 혁신은 아무리 해봐야 소용없을 것이다. 명문대 간판이 삶의 질을 결정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기 위해서는 지역균형 선발제와 블라인드 채용 전형을 늘리고, 학교별 특성화 전형을 강화해 고등학교 수준의 직업 교육 훈련을 확대하는 등의 사회-교육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 이로써 학벌이 좋지 않더라도 뒤처지지 않는 삶을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학교보다는 학과 중심으로 미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면 입시 경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최영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다윤기자 2017.11.07 01:23
    교육제도의 변화가 우선이 아니라 사회제도부터 변화되어야 한다는 기자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